◎생활요법
1.생활요법의 키워드
1)포괄적인 지도(인간의 성장,발달를 고려->아기부터 어른이 될 때까지의 전체를 봐야함:
안되는 부분만 보고 인생이 안된다고 생각하지 말고 전체적으로 보면 조금씩 성장해 가는 것이 보인다.)
2)필요한 생활체험,생활skill을 배운다.->체험을 정착할 때까지 반복할 것(사전학습->체험학습->사후학습)
예)여행시 : 1.계획하고->2.여행가고->3.여행후기(사진,비디오를 보며 여행후기를 상기시킴)
학습지도 상황 : 1."공부합니다"하며 프린트 그림 제시->2."합니다"하며 정말로 할 프린트를 준다->3."하세요"하며 공부를 하게 함
->4."오늘은 뭐했습니까?"라고 그날의 공부를 확인
쇼핑을 갈때 : 1.(사전학습)롯데마트 사진을 보여주며 먼저 사전인식을 시킨다 : "롯데마트에 갑니다"->2.카드를 먼저 보여주며
"거기에서는 000을 삽니다"->3.실제로 쇼핑을 하면서"이건 당근이네"하면서 당근을 사고 ->4.돈도 같이 내며 삽니다
->"오늘 어디 갔다 왔니?",물건을 보여주며"오늘 뭘 샀니?"하며 확인시키기
3)정상아동의 발달을 시야(視野)에 넣는다(必)
->정상아동의 발달과 동일하게 아이의 발달목표를 세움 예)~ちゃん이라고 부르다가도 나이가 들면 ~さん이라고 불러야 함
4)스스로 자신의 힘으로 장애를 뛰어넘는 힘을 기른다.
5)생활요법의 세가지 기둥
①몸만들기--자연적(신체)
->생활리듬조정,에너지 발산,체력,지구력 육성,정서 안정 등
②마음만들기--사화적(사회성)
->놀이와 체험을 쌓아감,친구에 대한 관심,말귀를 알아들음,자발성,커뮤니케이션 등
③지적개발--문화적(지적,정서)
->흥미,관심의 확대,시선집중,모방력등
2.장기적,종합적인 발달 촉진
1)생활과 직결한 트레이닝 연습으로 적극적 지원
2)자연의 섭리와 아이 원래의 발달의 구조를 따름
3)topdown 과 bottom up
4)일관성--장래 일어날 일을 먼저 생각해서 일관성있게 교육목표를 설정
->장래에 어떤 아이로 키우겠다는 목표가 있고 나서 아이의 지금을 교육할 수 있는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아이의 결점만 보면서 시간을 낭비하게 된다.
①유아기:신변자립(자기일은 자기가)
②초등학교:생활자립(기초력 증강)->할수 있는데까지는 반드시 한다.(가장 엄하게 교육해야 한다)
③중학교:선택이 가능(초등때 기초적으로 모두 가능해졌으므로 그중에서 자기가 해야하는 것을 선택해서 하게 됨)
④고등직업학교:구체적 전문성과 job coach가 있어 현장실습이 됨
*교육 과정 커리큘럼 제시의 원칙
①기대치는 일관성 있게 갖게한다.
②반복 연습의 기회를 제공
③필요한 힌트나 실마리,계기를 제공
④시각적으로 제시(판서,샘플등)
⑤확립된 루틴(정해진 일)을 사용(변경사항은 미리 전함)…정해진 일정표가 필요
⑥지도를 연속단계로 나눔(물음의 수,프린트의 크기와 매수,글자크기등- 단계별로 나눔)
⑦지시는 작은 연속단계로 나눔(이렇게 해라가 아니라 잘라서 지시)
⑧되풀이 연습의 기회를 제공
⑨부분->전체로 하고,전체->부분으로 접근하기도 함(시작과 끝을 명확히 해줌)
*어프로치의 원칙
①팀 어프로치(보호자도 포함)
②여러방법과 어프로치(접근방법)을 씀
③생활연령을 의식한 어프로치
④커리큘럼의 개별화=>교사,보호자가 실시한 평가 결과에 의거함
⑤프로그램진행의 유연성,융통성(프로그램을 아이에게 맞춘다.아이에게 프로그램을 맞춘다.)
*지원의 기본적 대응
①GOAL : 목표,목적
②MOTIVATION : 동기를 부여함
③ACTION : 행동함
④CONFIRMATION : 확정,확인
->tell,show,touch,do(말하고,보여주고,만지게 하고,행함) : T->S->T->D
예)++자전거를 태운다++
1.아이에게 자전거를 타게 한다(goal)
2.아이에게 자전거를 타는 모습을 보여준다.
3.너는 저렇게 타는거야라고 목표를 보여준다.
4.아이에게 자전거의 여러부분을 충분히 만지게 한다(동기부여를 할 때에는 설명만으로는 아이가 이해를 하지 못함)
5.아이에게 도전해 보고싶다는 기대치를 갖게 한다.
6.그리고 바로 태운다.
7.아이가 넘어져서 다시 안탄다고 하는 아이가 있으므로 아이의 성향을 먼저 파악한 후 아이에게 실습
8.연습을 시작하면 자전거타기가 어렵다는 것을 알고 아이가 싫어한다.
9.억지로라도 시켜야 한다.
10.억지로라도 계속 타면서 한 고개를 넘기면 아이가 자전거타기를 즐기게 된다.
11.자전거타기를 정착시킬 수 있다.
=>힘든 고비를 반드시 넘기는 것이 중요함
'자페관련 > 자폐아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The Out-of-Sync Child Has Fun(한 어머니가 말하기를...) (0) | 2010.07.30 |
---|---|
武蔵野東学園 의 教育 3 (3월 19일 부모교육내용) (0) | 2010.04.03 |
武蔵野東学園 의 教育 1 (3월 19일 부모교육내용) (0) | 2010.03.21 |
自閉症教育の基本的な考え方 (0) | 2010.03.20 |
무사시노히가시 초등학교교육 (0) | 2010.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