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페관련/자폐아교육

武蔵野東学園 의 教育 1 (3월 19일 부모교육내용)

명탁이 어멍 2010. 3. 21. 20:08

1.서론

 ◎자폐아동을 교육할 때의 배려

  자폐아동들은

 1)시선집중(주의집중)이 잘 안되거나 부적절하게 한다.

 2)언어의 이탈현상을 보인다.

 v3)멀티모드처리(2가지일)을 잘 못한다.(예)전화하면서 메모하는 것이 불가능->지도시:초기에는 지시할 때 한가지만 하는 것이 중요)

 4)청각적으로 처리하는 능력보다 시각적으로 처리하는 능력이 뛰어남(시각적인 부분으로의 접근이 아이에게 더욱 유리)

 5)받아들이는 연습이 필요

 6)동기를 일으키기가 어렵다.(새로운 것에 대한 흥미유발이 어려우므로 ->지도시:처음에 동기유발을 끌어내는 것이 굉장히 중요)

 v7)같은 일이나 정해진 일이 필요하다.(동일한 것에 대해 안정감을 느끼므로 생활전체를 동일화, 패턴화 해야하나

                                                    또한 집착을 하게 만들어도 안됨)

 8)고집과 선입견이 강하다.

 9)운동기술이 모자람

 v10)접하는 것만으로는 학습이 잘 안됨(반복적인 교육이 필요<- 일반아이들과는 차별화된 교육이 필요)

 11)감각이 과민하다(교육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부분이다)

  ->예)①형광등소리에 민감해져서 아이가 발작을 일으킴

          ②몸을 만지면 아파함

          ③시각적으로 어떤 색깔을 싫어한다던지

 12)기술기능이 약함(문제 해결법,가설검증,계획,사고,해결을 억제할 능력등)

  ->자폐아동은 계획을 세워서 무언가를 하는 게 불가능 하다.자기가 생각하면 그것을 해야지 못하게 억제하는 것이 어려워

     하고 싶은 것이 있으면 해버리게 되는데 그것이 문제행동이 됨

 ->지도시:문제해결능력이 없으므로 그 방법이라도 가르쳐 주어야 한다(자폐아는 자신의 생각이 남도 그렇게 생각한다고 생각하게 됨

                                                                                                 그래서 사람과의 공감대형성이 어려운 것이다)

 v13)마음의 이론이 결여됨(사회에서 남의 마음을 이해하지 못하므로 공감대를 갖기가 어렵다)

  ①상대방의 반응을 보며 대응을 생각하는 것이 어렵고

  ②남의 생각과 자신의 생각이 다를 수도 있다는 것을 알지 못하고

  ③자신의 감정보다 먼저 상대방의 감정을 생각하기 힘들고

  ④공감하는 마음을 키우기 힘들고

  ⑤남의 시각(시선)을 파악하지 못한다

 

◎자폐아동 커뮤니케이션에의 배려

 1)표정(눈치)를 살펴 되는 지 안되는 지  즉, '~하면 안된다'  <=> '~안 하면 된다' 을 알게 할 것

   ☆'안돼'를 알면 사람들이 어떻게 할 때 좋아한다는 것을 안다.=>방법)사람들과 타협이나 양보하여 매듭짓게 유도한다.

  ♣커뮤니케이션의 기초는 "안돼"가 이해되어야 함("안돼"라는 말을 자주 사용하는 것은 안좋으나 "안돼"라는 말은 이해를 시켜야 함

   ->교육을 시킬 때 "안돼"의 개념을 아는 것은 교육을 하기에 유리한 점이므로 중요함) ♣

 2)뺏었다.뺏겼다 : '더,더''한번 더''하나 더' 를 얘기하게 끔 <=> '나중에''다음에'를 얘기해 참고 기다리면 얻을 수 있음을 알게 한다.

    ☆참는 것,기다리는 것을 배운다.참고 기다릴 줄 아는 아이가 된다

    ☆무시받지 않고 사람들이 받아들일 표현을 배운다

 3)좋아하니까 한다 <=>싫어하니까 안한다.(룰이나 남의 페이스에 맞출 수 있는지?)

    ☆자신과 남의생각 차이를 안다

    ☆좋아도 할 수 없는 상황을 체험시킨다.

 ♣좋아하거나 싫어하는 감정보다 그래도 해야하고 그래도 하지 말아야 함을 먼저 알아야 함

 4)이기고 지고에 대해 고집한다. :  이긴다=좋은일이라는 것을   <=>  진다=안되는 일,좋지 않은 일    

룰을 지키는 것이 결과보다 우선

 ♣이기고 지는 것에 대해 이해를 시켜야 하고 인지력이 올라가서 이기고 지는 것을 알면 이기고 지는 것에 과민 반응을 하지 않도록 해야만 하고 사회적인 룰을 먼저 가르쳐야 한다♣

 5)해서 되는 일 안되는 일을 안다 : 사람들 앞에서 가족이나 다른 아이를 비난한다.

    ☆자신이 참으면 상대방이 좋아한다.

 

◎인지면에서의 장점과 단점

 

 장점(장점을 먼저 길러줄 것)

단점 (단점은 하나씩 고쳐줄 것)

 *시각,청각 기억력이 좋다

 *기계적 학습-사실,규칙

 *철자

 *이해한 지식

 *예술

 *과학

 *계산,한자 능력

 *시공간적 기술이 부족(판서등)

 *청각처리

 *추상적문제해결

 *이해력

 *산수의 응용

 *정보의 통합

*주의 집중과 그 지속

 

 ♣ 암기는 장점이므로 여러가지 방법으로 기계적으로 암기를 하게 함 (독해력은 짧게 외워가는 것으로 해결->응용력은 약함)

 

◎행동면에의 배려(자신의 상황파악이 안되는 것에서부터 문제행동이 일어나게 됨)

 1)부주위/무시

 2)반항성/도전성

 3)버릇없음,무례함/남을 생각할 줄 모르는 것 같아 보인다.

 4)작업을 완성하지 못한다.

 5)노여움/욕구불만(frustration:만족을 얻지 못해 오는 감정적 긴장의 증대상태)

 6)불안

 7)집안에 틀여박혀 있음

 8)자기자극행동/자해행동

 9)짜증

 10)공격성/기물파괴

 11)억제하지 못한다.

 

◎사회 규범(social skill)-> 사람들이 수용할 행동,기대하는 행동

 1)시선집중(주위 집중)

 2)모방/놀이 skill

 3)상호 사회적 주고 받음

 4)언어를 문법에 맞게 사용

 5)비언어 커뮤니케이션

 6)관계 만드는 방법/유지 방법

 7)자기 평가

 8)문제해결 skill

 9)여가skill

 10)자신의 사고,감정,경험의 이해

 11)감정의 식별/분류

 12)남의 시점에 선다.

 13)통합정리 skill

 14)노여움의 억제 control

 15)긴장을 풀고 편안히 쉴수 있는 skill

 

《social skill 촉진의 원칙

 1)하려는 마음을 높인다.

 2)진실을 전한다

 3)구체적으로 칭찬한다.

 4)긍정적인 말을 쓴다(~해서는 안돼요를 피한다)

 5)아이가 성공할만한 데부터 시작한다.

 6)아이에게 대체반응을 할 시간을 준다

 7)자기선택,자기결정->일반적인(올바른)방법으로 선택해서 하는 것이 어려워 올바른 선택,결정ㅇ르 하도록 유도하여야 함

   예)과자를 좋아하는 것 2개를 내놓고 선택해서 나머지 한개를 포기하도록 하고

       싫어하는 과자 2개를 내놓고 선택해서 선택한 것은 반드시 먹도록 해서

       선택한 것은 반드시 해야한다는 것을 인지시킴

 

♣여러 장면에서의 지도가 필요하며 잘한 일을 '강화'시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