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규칙을 정한다

산만한 아이들은 자신의 계획을 정하고 실천하는 것에 미숙하기 때문에 부모가 행동규칙을 정하고 실천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것이 좋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10∼11살까지는 적합하지만, 고학년이 되면 적합하지 않다.

일상적인 행동에 대한 규칙을 미리 정하고 규칙을 어겼을 때는 처벌을 받도록 한다. 규칙에 없는 다른 잘못을 했을 때는 처벌을 적용해서는 안 된다. 그리고 규칙은 구체적이고 정확하게 알려주어야 한다. 예를 들어 방을 치운다고 하면 책상 위만 치우라는 말인지, 방 전체를 정리정돈하라는 말인지, 그 범위를 정확히 해야 한다. 따라서 규칙을 정할 때는 아이와 함께 정해서 아이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 보상과 처벌은 즉시

규칙을 정했다면 그에 따른 보상과 처벌의 기준도 세워야 한다. 보상이란 아이가 좋아하는 것, 즉 칭찬이나 선물, 특권 등을 말한다. 반면, 처벌이란 아이를 때리거나 소리를 지르고 혼내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보상의 반대 개념으로 아이가 좋아하지 않는 행동을 하게 만드는 것이다. 즉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을 그칠 때까지 자기 방에 가있는다든지, 하기 싫어하는 과제를 끝마치게 하는 것 등이다. 예를 들어 세수를 하지 않고 아침을 먹으려고 할 때는 '밥을 먹으려면 세수하고 양치질을 한 뒤에 먹을 수 있다'고 타이른 뒤에 실천하게 하는 것이다.
이외에 효과적인 처벌 방법으로 '타임아웃'이 있다. 아이가 잘못했을 때 독방에 가게 한 다음, 자신의 감정정리가 되면 다시 나오게 하는 것이다. 보상이나 처벌이 효과를 내기 위해서는 즉각적으로 실시해야 한다. 즉 아이가 그릇된 행동이나 바른 행동을 보였을 때 지체하지 말고 그 자리에서 바로 보상과 처벌을 해야 아이에게 유효한 자극이 된다.
또 '한 번만 말하는 것'이 중요하다. '해라, 하지 말아라'를 반복해서 말하지 말고, 한 번 아이에게 말했을 때 그것을 실천하면 그 즉시 보상을, 실천하지 않는다면 그 즉시 처벌을 해야 한다. 산만한 아이에게 지나치게 잔소리를 하거나 감정을 자제하지 못하고 소리를 지르는 등의 태도는 매우 좋지 않다. 어떤 일이 있어도 보상과 처벌의 규칙에 맞게 인내심을 갖고 지도하는 것이 중요하다.

◆ 과제물은 적게, 다양한 변화를 준다

주의집중력이 떨어지는 아이는 가정에서뿐만 아니라 학교와 긴밀한 관계를 갖고 동일한 지도를 해야 효과적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부모가 담임교사와 충분한 협의하에 지도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선, 산만한 아이에게는 많은 과제물을 주어서는 안 된다. 과제가 너무 많아서 지루해하거나 심리적인 부담을 갖게 된다면 더 산만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과제를 주되, 한 가지 과제가 짧은 시간 안에 해결할 수 있는 정도여야 하고, 지루해하기 전에 곧바로 새로운 과제를 주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다음 학습이 연계될 때 기다리는 시간이 없도록 한다.

◆ 한 번에 여러 가지 일을 하지 않게 한다

산만한 아이는 동시에 여러 가지를 분주하게 처리하려는 습성이 있다. 예를 들어 그림을 그리다가 곧 비디오를 보고 싶어한다. 그리고 다시 물장난으로 옮겨가는 것이다. 어느 것 하나 꾸준히 마무리를 하지 못하고 이것저것 우왕좌왕한다.

따라서 아이가 한 가지 일을 시작했을 때는 어떻게든 그 일을 마무리할 수 있도록 옆에서 지도하며, 그 일을 할 때는 아이가 집중할 수 있도록 심부름을 시키거나 주위를 소란하게 하는 등의 행동은 삼간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