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드코프의 금광개발(위키노믹스의 좋은 사례)
1999년 캐나다 토론토의 금광 회사 골드코프(Goldcorp)는 금광 개발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롭 맥이웬(Rob McEwen) 사장은 리눅스의 개발 사례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지난 50년간 모아놓은 광산 지질 데이터를 인터넷에 공개하고 총 57만5,000달러의 상금을 내건 금맥 후보지 발굴 콘테스트를 열기로 하였다. 일반적으로 광산업 특성상 지질 자료는 회사의 가장 중요한 비밀 자산 가운데 하나로 여겨진다. 2000년 3월 콘테스트가 시작되자 전세계의 다양한 전문 지질학자를 비롯해 대학원생, 수학자, 군대 장교 등 참가자들로부터 110곳의 새로운 금맥 후보지가 제안 되었다. 결과적으로 이들 후보지 80% 이상에서 금맥이 발견되었다. 연 매출 1억 달러에 불과했던 골드코프는 대박을 터뜨리며 90억 달러 규모의 거대 광산업체로 성장하게 되었다. [1] :21~25 돈 탭스콧과 앤서니 윌리엄스는 이러한 사례를 통해 기업 밖의 수많은 사람이 참여하는 대규모 협업(mass collaboration)을 활용하는 기업이 미래를 주도하게 될 것이라고 주장한다.
勝's Todalgi.
위키노믹스는 위키피디아의 개방, 오픈 프레임 구조를 통한 발전, 집단 지성의 방향성 등을 경제적 가치로 재조명한 용어라 하겠다.
여기선 위키노믹스의 관점을 약간 확장하여 인생의 행복에 대한 관점으로 확장해보자.
결론부터 말하자면 오픈하고 공개하는 것이 숨기고 잡아두고 계산하는 것보다 더 큰 가치라는 것이다.
호의와 공유, 공개 자체가 이미 '목적성'을 갖게 되면 그것은 '거래'가 되기 쉽상이다. 결국 연속적인 '신뢰관계', '파트너쉽'을 구축하는데에 방해가 되는 요소. 의식적인 호의, 선의가 아닌 본능 수준의 무의식적인 것이 되어야 "거래로서의 성과"가 아닌 자체로 진정한 "행복"을 느낄 수 있다는 것.
그렇다면 어떻게 '본능 수준의 무의식 적인 공유'에 이를 수 있을까?
쉽게 접근할 수 없을까?
쉬운 접근 방법. 음...재미...Fun~! 그것이 성자가 아닌 나같은 범인에겐 가장 순수한 동기라고 답 적어 놓고 골똘이 쳐다보는 중이다.
이제 거의 가까워진 느낌.
'나나♥♥♥ > 좋은글,좋은 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보수와 악조건도 견디게 하는 목표의식 (0) | 2014.03.24 |
---|---|
김미경 교수, 아! 안철수 교수 부인 인터뷰에서 몇 가지 와닿은 말들 (0) | 2014.03.24 |
최고의 싸움닭은? 목계지덕(木鷄之德) (0) | 2014.03.24 |
강화이론 [ reinforcement theory , 强化理論 ] (0) | 2014.03.24 |
덕이 없는 재능은 위험하다 - 덕승재(德勝才)의 원리 (0) | 2014.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