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페관련/자폐 관련 자료

감각정보처리(감각통합)장애의 이해와 대처2

명탁이 어멍 2010. 6. 29. 03:06

*감각정보처리장애가 있다고 말해주는 증상

1.촉각문제

2.동작문제(움직임과 균형)

3.신체위치와 근육조절

4.시각

5.청각

6.후각

7.미각

*감각정보처리장애의 흔한 증상들

1.감각조절장애 : 아이가 어떻게 감각에 대하여 자신의 반응을 조절하는가에 관한 것

   (과잉반응 아동,반응저하 아동,감각을 갈구하는 아동)

2.감각변별장애 : 한 감각을 다른 감각과 구별하지 못하거나 그 감각의 의미가 무엇인지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것을 말함

                        변별이 잘 안되는 아동은 자기를 보호하거나 새로운 것을 배우는데 어려움을 느낄 수 있다.

                        종종 이런 아이는 방응이 저하되어 있고 감각이 원인인 운동장애를 가지고 있기도 하다

3.감각이 원인인 운동장애

4.연관되어 나타나는 조절 및 행동장애

*감각정보처리장애는 세계적으로 나타나는 보편적 장애로,단독으로 있을 수도 있지만 종종 다른 장애들과 동반되며 그 장애들을 더

  복잡하게 만듬

 예)아이가 자페증이면 촉각에 대해 과잉반응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감각문제가 자폐증의 원인은 아니지만 확실히 자폐증을 더 악화시킨다.한 부분에서 어려움이 더 많을수록 다른 영역에서도 더 많은 어려움을 겪기 쉽다.

  이것은 신경학적 장애가 연속선상에 있는 것이기 때문에 특히 그렇다.

*조절장애중....

1)자기조절 : 자신의 기분을 조절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아동이 있다.자신을 활성화할 수 없거나 일단 각성이 된 뒤에는 진정이 안될 수도 있다.쉽게 법석을 떨기도 함.다치거나 화가 난 후에 자기 스스로 진정하는 것이 어려움.자기 만족이 늦고 한 활동에서 다른 활동으로의 이행을 견디기 힘들어 함.아이의 수행이 고르지 않아서 어떤 날은 잘하고 그 다음날은 그것을 잘하지 못함

  ->치료의 방법 : "감각식이"와 영양보충을 해주는 것이 도움이 됨

2)수면 : 수면장애는 많이 움직이려고 하는 욕구와 종종 관련이 있다.만약 아이가 낮 동안에 충분히 활동하지 않았다면 각성수준은 매우 급격하게 요동치게 되고 아이의 각성수준이 밤에 오히려 올라가서 잠들기가 어려워 짐

  ->치료 방법 : 감각통합치료(각성조절이 잘 안되는 것과 자기진정이 힘든것 같은 내재해 있는 문제들을 경감시켜준다.)

         ^^낮동안 - 그네타기,조깅하기와 같은 많은 움직임 활동 ;빨래바구니를 운반하는 등의 힘든 일; 마그네슘,필수 지방산, 가바같은

                        뇌를 진정시켜주는 보충제; 아스파탐(주:인공감미료),엠에스지(주:인공조미료),인공색소같이 뇌를 흥분시키는 첨가물이

                         없는 음식을 줘야함

        ^^잠자리에 들기전 - 따뜻한 목욕 후 곧 잠자리에 들도록 하여야 함

                                    잠자리에 들기 몇 시간전에는 TV나 컴퓨터를 금한다.

        ^^잠자리에서 - 하나의 재미난 이야기를 들려줄 것

                             등을 마사지해주고 어깨,팔,다리의 관절을 압박해 준다.

                             다소 무거운 이불로 아이를 완전히 감싸준다.그리고 "잠자는 척 해봐"하고 말해줌

        ^^이불로 감싼 후에 - 아이가 어둠을 무서워하면 밤 전등을 켜고

                                     잠이 오는 음악 즉 바하나 모짜르트의 아다지오 같은 것을 들려 줌

                                     비소리,파도소리 같은 백색잡음을 들려줌

                                     아니면 부모가 직접 노래를 해 줘도 됨

3)먹기 : 촉각에 대한 과잉반응으로 먹기기능을 바르게 습득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