おおきい : 오오키이 : 크다

ちいさい : 찌이사이 : 작다

たかい : 타카이 : 높다

ひくい : 히꾸이 : 낮다

おいしい : 오이시이 : 맛있다

まずい : 마즈이 : 맛없다

うるさい : 우루사이 : 시끄럽다

あかい : 아카이 : 빨강(이외에 색 모두 형용사)

おもい : 오모이 : 무겁다

かるい : 카루이 : 가볍다

おおい : 오오이 : 많다

すくない : 스쿠나이 : 적다

やさしい : 야사시이 : 다정하다, 상냥하다, (착하다)

むずかしい : 무즈카시이 : 어렵다

やさしい : 야사시이 : 쉽다

あつい : 아쯔이 : 두껍다

うすい : 우스이 : 얇다

あつい : 아쯔이 : 덥다

さむい : 사무이 : 춥다

あたたかい : 아따따까이 : 따뜻하다

すずしい : 스즈시이 : 시원하다

つよい : 쯔요이 : 강하다

よわい : 요와이 : 약하다

はやい : 하야이 : 빠르다(이르다)

おそい : 오소이 : 느리다

うれしい : 우레시이 : 기쁘다

かなしい : 카나시이 : 슬프다

おもしろい : 오모시로이 : 재미있다

いそがしい : 이소가시이 : 바쁘다

つめたい : 쯔메타이 : 차갑다

あつい : 아쯔이 : 뜨겁다

かわい : 카와이 : 귀엽다, 예쁘다

[출처] ぃ 형용사|작성자 규민ㅋ

'나나♥♥♥ > 외국어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쁜 일본어 단어2  (1) 2010.03.06
일본어로 우리몸  (0) 2010.03.06
일본어(な 형용사)  (0) 2010.03.06
일본어(생활속의 일본어 1)  (0) 2010.03.06
일본어(입문 단어1)  (0) 2010.03.06

しずか : 시즈카 : 조용하다

きれい: 키레이 : 예쁘다

べんり: 벤리 : 편리하다

ふべん: 후벤 : 불편하다

ひま: 히마 : 한가하다

にぎやか : 니기야카 : 번화하다, 떠들석하다

たいせつ: 타이세쯔 : 소중하다, 중요하다

すき : 스키 : 좋아하다

じょうず: 죠-즈 : 잘하다, 능숙하다

へた: 헤타 : 잘못하다, 서툴다

きらい : 키라이 : 싫어하다

げんき: 겡끼 : 건강하다(기운이있다)

だいじょうぶ: 다이죠-부 : 괜찮다

らく: 라쿠 : 편하다

すてき: 스테키 : 멋있다, 멋지다

ぜいたく: 제이타쿠 : 사치스럽다

しんせつ: 신세쯔 : 친절하다

ゆうめい: 유-메이 : 유명하다

しんせん: 신센 : 신선하다

だめ: 다메 : 안됀다

じょうぶ: 죠-부 : 튼튼하다

はで: 하데 : 화려하다

じみ: 지미 : 수수하다(시골틱한)

りっぱ:릿빠 : 훌륭하다

かいてき: 카이테끼 : 쾌적하다

まじめ: 마지메 : 진지하다

かんたん: 간딴 : 간단하다

ふくざつ: 후꾸자쯔 : 복잡하다

だいたん: 다이탄 : 대범하다

ていねい: 테이네이 : 정중하다

ゆたか : 유타카 : 풍요롭다, 풍부하다

じょうひん: 죠-힝 : 고상하다, 품위있다

げひん: 게힝 : 천하다, 상스럽다

たいへん:타이헹 : 큰일이다

[출처] な 형용사|작성자 규민ㅋ

'나나♥♥♥ > 외국어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어로 우리몸  (0) 2010.03.06
일본어(ぃ 형용사)  (0) 2010.03.06
일본어(생활속의 일본어 1)  (0) 2010.03.06
일본어(입문 단어1)  (0) 2010.03.06
호칭에 관련된 일어  (0) 2010.03.06

すり(쓰리) : 소매치기

  전철 등에서 소매치기를 당했을 때 보통 "쓰리당했다"라고 하는데, 그냥 은어 정도로 생각
    하고 있는 사람이 많은 것 같습니다.  이 쓰리는 일본어 すり(소매치기)에서 온 말입니다.

    すりにご用心(ようじん) : 소매치기 조심
    すりに財布(さいふ)をやられた :  소매치기에게 지갑을 도둑맞았다.

 

じゃばら(자바라) : 주름물통, 주름대롱

 놀러 갈 때 꼭 챙기는 물품 중 하나인 자바라.
    자바라는 일본어 "蛇腹(じゃばら)"를 그대로 읽은 것으로, 사진기 등의 주름상자나 수도꼭
    지에 끼우는 주름대롱 등 물건의 주름에 통칭해서 쓰는 말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야영이나 등산 갈 때 접었다 폈다하는 주름물통을 가리키는 말로 널리 쓰
    이고 있죠.   때로는 주름 호스를 가리킬 때도 쓰이고 하니 상황에 따라 주름물통, 주름대롱
    으로 가려서 써야겠습니다.

 

ぶんぱい(품빠이) : 분노, 노늠

 품빠이는 "分配"를 일본식 발음대로 分配(ぶんぱい)로 읽은 것입니다.
    어떤 물건이나 재물을 여러 몫으로 나눌 때 쓰는 말로, 우리는 흔히 계산을 할 때 각자 나누
    어서 지불하자는 의미로 "우리 품빠이하자'라고 많이 하죠.
    일본에서는 물론 이럴 때 割り勘을 써, 割(わ)り勘(かん)にしましょう라고 하겠죠. 

 

     平等(びょうどう)に分配する : 평등하게 분배하다.

やみ(야미) : 뒷거래, 뒤, 암거래

 "(やみ)"는 면허나 자격증이 없는 사람이 점포 없이 몰래 하는 뒷장사를 가리켜 야미라고
    합니다.
    일본어에서 "やみ"는 "やみ取(と)り引(ひ)き"의 준말로, 암거래 뒷거래의 의미입니다.
    요즘도 성형수술이나 이 치료 등을 "야미"로 해서 고생하는 분들 이야기를 종종 듣게 되죠.

    やみで買(か)う : 암거래로 사다.
    やみで手(て)に入(い)れる : 암거래로 손에 넣다.

 

ぴかぴか(삐까삐까) : 번쩍번쩍, 반짝반짝

 ぴかぴか는 원래 "번쩍번쩍 윤이 나며 반짝이는 모양"을 나타내는 의태어인데, 우리나라에
    서는 이 ぴかぴか가 두 가지 뜻으로 쓰이고 있습니다.  첫째는 "번쩍"이라는 말이 합쳐진
    '삐까번쩍', 사물의 외양이나 차림새가 번쩍번쩍 빛난다는 의미로, 둘째는 서로 비슷해서
    우열의 차이가 거의 없다는 뜻으로 쓰입니다.
    예전에 일본인에게 두 번째 뜻으로 설명을 하니 알아듣지 못하더군요.
    일본어에서는 그런 뜻으로 쓰이지 않으니 당연한 거겠죠. ^.^ 

    
靴(くつ)をぴかぴかに磨(みが)く : 구두를 반짝반짝 광이 나게 닦다.
    ぴかぴかした床(ゆか) : 번쩍번쩍 윤이 나는 마루 

'나나♥♥♥ > 외국어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어(ぃ 형용사)  (0) 2010.03.06
일본어(な 형용사)  (0) 2010.03.06
일본어(입문 단어1)  (0) 2010.03.06
호칭에 관련된 일어  (0) 2010.03.06
생활속 일본어2  (0) 2010.03.06

がっこう(각코우) : 학교

くるま(쿠루마) : 차바퀴

しょうがっこう(쇼우각코우) : 초등학교

ふね(후네) : 배

ちゅうがっこう(사유우각코우) : 중학교

ひこうき(히코우키) : 비행기

こうこう(코우코우) : 고등학교

じてんしゃ(지텡샤) : 자전거

だいがく(다이가쿠) : 대학

でんしゃ(뎅샤) : 전철

だいがっこう(다이각코우) : 대학교

ちかてつ(치카테츠) : 지하철

がくせい(가쿠세이) : 학생

てがみ(테가미) : 편지

しょうがくせい(쇼우가쿠세이) : 초등학생

きって(킥테) : 우표

ちゅうがくせい(사유우가코세이) : 중학생

こうこうせい(코우코우세이) : 고등학생

だいがくせい(다이가쿠세이) : 대학생

せんせい(센세이) : 선생님

ぎんこう(긴코우) : 은행

かいしゃ(카이샤) : 회사

かいしゃいん(카이샤잉) : 회사원

ぎんこういん(긴코우잉) : 은행원

けいさつ(케이사츠) : 경찰

こうむいん(코우무잉) : 공무원

いしゃ(이샤) : 의사

えき(에키) : 역

[출처] 입문 단어1|작성자 규민ㅋ

'나나♥♥♥ > 외국어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어(な 형용사)  (0) 2010.03.06
일본어(생활속의 일본어 1)  (0) 2010.03.06
호칭에 관련된 일어  (0) 2010.03.06
생활속 일본어2  (0) 2010.03.06
일본어(양력 음력의 월별 명칭)  (0) 2010.03.06

わたし[와따시] : '나' 남녀공용. 공손한 표현

あたし[아따시] : '나' 여자들이 귀엽게 보이려고 쓰는 말

ぼく[보쿠] : '나' 남자들이 자기보다 어린사람이나 자기또래의 사람에게 쓰는 말

おれ[오레] : '나' 보통 남자들이 많이 쓰는 말

あなた[아나타] : '당신' 남녀공용, 경어의 개념

きみ[키미] : '그대', '당신' 남자가 자기또래나 자기보다 어린 상대방에게 쓰는 말

おまえ[오마에] : '당신' 남자가 자기또래나 자기보다 어린 상대방에게 쓰는 말

さま[사마] ~님
さん[상] ~씨,(여자 이름 뒤에 붙어서)~양
くん[쿤] (남자 이름 뒤에 붙어서)~군
ちゃん[쨩] (일반적으로 친구들끼리 좀 친근한 의미)~야

 

ごめん[고멘] : '미안' 흔히 반어체로 쓰임. 잘못을 해서 미안할때 씀
좀 더 공손하게는 ごめんな[고멘나] '미안합니다'
좀 더 공손한 표현은 ごめんなさい[고멘나사이] '죄송합니다'

すみません[스미마센] : '미안합니다', '실례합니다' 일상적으로 실수했을때 씀
회화에서는 すいません[스이마셍]이라고 쓰이기도 함

どうも[도-모] : '대단히'
どうも、ありがとうございます。[도-모 아리가또-고자이마스]를 줄여서 간단하게 도-모라고 함
상황에 따라서는 도-모가 '대단히 감사합니다', '대단히 죄송합니다' 등으로도 쓰임

ありがどう[아리가또-] : '고마워', '고마워요'
경어체 ありがどうございます

 

さようなら[사요-나라] : '안녕히 가세요', '잘가' 보통 영원한 이별, 결별 등을 의미

またあした[마따 아시타] : '내일 또보자'
じゃね[쟈네] : '잘가'
じゃな[쟈나] : '잘가'
バ-イバ-イ[바-이바-이] : bye bye

'나나♥♥♥ > 외국어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어(생활속의 일본어 1)  (0) 2010.03.06
일본어(입문 단어1)  (0) 2010.03.06
생활속 일본어2  (0) 2010.03.06
일본어(양력 음력의 월별 명칭)  (0) 2010.03.06
일본어(가족호칭)  (0) 2010.03.06

きら星 : きらぼし(기라성)

 

 "기라성 같은 존재", "기라성처럼 늘어서다" 등 기라성이라는 단어를 우리는 신문이나 방송에서 많이 접한다. 한자로는 綺羅星이라고 적어 얼핏 그냥 한자어가 아닌가하지만, 여기서의 "綺羅"는 일본어 "きら"의 취음에 불과하다고 한다

 "きら"는 일본어로 반짝인다는 뜻. "きらきら"는 '반짝반짝"이 "きら"에 星(ぼし)가 붙어 기라성(きら星 : きらぼし)이 된것이다

 밤하늘에 빛나는 수많은 별들, 또는 실력자들이 늘어선 것을 비유하는 말인데, 과연 우리말로 어떻게 바꾸어 쓰면 좋을까?

 

一杯 : いっぱい (입빠이) : 가득(히)

 

 입빠이는 "가득히"라는 의미로 우리 생활에서 자주 들을 수 있는 단어이다

술을 마시면 '잔에 입빠이 채워라', 주유소에 가서 '입빠이 넣어 주세요'라고 자주 말한다

일본어에서 '가득'의 의미 외에도 여러 뜻으로 쓰이는데, "한 잔, 한 그릇"의 의미로 쓰일때는 악센트가 앞에 있으며, '가득(히)'의 의미로도 쓰인다

 이 외에도 "빠듯함, ~껏(한도)"등의 의미로도 쓰인다

 

滿タン : まんタン(만땅) : 가득(히)

 

 滿(まん)タン은 일본어와 외래어로 이루어진 일본식 외래어이다

"가득"이라는 의미의 "滿"과 "タンク(tank)"의 줄임말인 "タン"이 합쳐진 말로, 연로 등을 탱크 가득히 넣은 것을 뜻한다

주유소에서 기름을 넣을 때 입빠이(一杯 : いっぱい)라는 말을 쓰기도 하지만, 만땅(滿タン)이라는 말도 이에 못지않게 많이 쓰이고 있다

一杯에서처럼 "가득(히)"라는 말로 바꿔 써야겠다

 

勝負 : しょうぶ (쇼부) : 승부

 

 쇼부는 승부(勝負)의 일본어 발음이다

물건을 사거나, 어떤 일의 결판을 내기 위한 흥정을 할 때 쇼부라는 말을 많이 쓴다

예를 들어 물건값을 흥정할때, "그럼, 우리 만오천원으로 쇼부봅시다"처럼 일상생활에서 많이 쓰는데, 각 상황에 맞게 승부, 흥정, 결판 등 적당한 우리말을 바꿔 써야겠다

 

  勝負がつかない : 승부가 나지 않다
  本勝負(いっぽんしょうぶ) : 단판 승부
  勝負にならない : 승부를 겨룰 것도 없다

 

てんかん(뗑깡) : 생때, 어거지

 

 뗑깡부리다라는 표현으로 많이 쓰이는 "뗑깡"은 일본어에서 한자로 "전간(てんかん)"이라고 쓰며 간질병, 지랄병을 의미한다

이 말은 우리나라에서는 억지부리거나 생떼쓰는 의미로 혹은 어린이가 심하게 투정을 부리는 뜻으로 쓰이는데, 상황에 따라 생떼, 어거지, 투정, 행패 등 적당한 말로 바꿔써야겠다

 

ゆとり (유토리) : 융통성, 여유

 

 ゆとり는 시간, 금전, 기력등의 여유를 뜻한다

예를 들어 "ゆとりのある生活(せいかつ)"라고 하면 "여유있는 생활"이라는 의미가 된다

"사람은 좀 유도리가 있어야지 그렇게 꽉 막혀서야...."

"그렇게 유도리가 없어서야 어디 세상 살아가겠어"

등의 우리 일상생활에서 많이 쓰이고 있는데, 이럴때는 융통성 등으로 바꿔 쓰야겠다

 

土方 : どかた (노가다) : 노동, 막일

 

 공사판의 노동자, 막일꾼, 또는 막일을 하는 것을 우리는 보통 "노가다"라고 한다

"요즘 노가다 뛰면 하루 일당이 얼마야?"

"할일 없으면 노가다라도 뛰지뭐"

라는 식으로 젊은 사람들도 꽤 많이 쓰는데, 원래 일본어로는 どかた(土方)이다

노동자들이 공사장 주변의 작은 토방에서 숙식을 해결하며 일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無鐵砲 : むてっぽう (무대포) : 마무가내

 

 앞 뒤 생각없이 무턱대고 하는 모양, 분별없음, 경솔함 등을 뜻하는 표현인데, 방향과 시각을 겨냥하지 않고 맹목적으로 쏘아대는 발포행위에 비유한 말이다

우리말은 무턱대고, 저돌적으로, 막무가내, 무모한 사람이라고 한다

 

散らし : ちらし (찌라시) : 광고, 쪽지

 

 아침마다 신문에 가득히 끼여서 오는 광고 쪽지, 우편함에 가득 꽂혀 있는 선전지

우리는 보통 이런 것들을 보고 찌라시라고 하는데, 이는 일본어 ちらし(흩뜨림, 광고지)를 그대로 읽은 것이다

 

散(ち)らしをまく : 광고 쪽지를 뿌리다

 

傷 : きず (기스) : 상처, 흠집

 

 기스는 우리말로 상처, 흠, 흠집, 결점, 티 등의 뜻을 지닌 말이다

물건같은 것을 옮길 때 "기스나지 않게 조심해서 옮겨"

자동차 등이 긁혔을 때 "기스났다"는 말을 많이 쓰는데, 이쁜 우리말로 바꿔 써야겠다 ^___^

 

玉(たま)に 傷(きず) : 옥에 티

 

腐り : くさり (구라시) : 면박주다

 

 흔히들 속어로 남의 말이나 행동을 비웃는 것을 쿠사리준다고 한다

동사형은 腐(くさ)る...

원래는 식물 따위가 부패하다 또는 나무 , 금속이 삭다, 부식하다라는 의미이나, 속어로는 자기 기분이 우울하다, 풀이 죽다, 동사뒤에 이어져 타인의 동작을 경멸하는 뜻을 나타낸다

쿠라시준다고 하는 것 보다는 비웃다 또는 면박준다라고 하면 좋을 것이다

 

[출처] 생활속 일본어2|작성자 규민ㅋ

'나나♥♥♥ > 외국어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어(입문 단어1)  (0) 2010.03.06
호칭에 관련된 일어  (0) 2010.03.06
일본어(양력 음력의 월별 명칭)  (0) 2010.03.06
일본어(가족호칭)  (0) 2010.03.06
예쁜 일본어  (0) 2010.03.06

양력

  1월 : 一月(いちがつ: 이치가츠)

  2월 : 二月(にがつ:니가츠)

  3월 : 三月(さんがつ: 산가츠)

  4월 : 四月(しがつ:시가츠)

  5월 : 五月(ごがつ:고가츠)

  6월 : 六月(ろくがつ:로쿠가츠)

  7월 : 七月(しちがつ:시치가츠)

  8월 : 八月(はちがつ:하치가츠)

  9월 : 九月(くがつ:쿠가츠)

10월 : 十月(じゅうがつ:쥬우가츠)

11월 : 十一月(じゅういちがつ:쥬우이치가츠)

12월 : 十二月(じゅうにがつ:쥬우니가츠)


음력

  1월 : 睦月(むつき: 무츠키)

  2월 : 如月(きさらぎ: 키사라기)

  3월 : 弥生(やよい: 야요이)

  4월 : 卯月(うづき: 우즈키)

  5월 : 皐月(さつき: 사츠키)

  6월 : 水無月(みなづき: 미나즈키)

  7월 : 文月(ふみづき: 후미즈키)

  8월 : 葉月(はづき: 하즈키)

  9월 : 長月(ながつき: 나가츠키)

10월 : 神無月(かんなづき: 칸나즈키)

11월 : 霜月(しもつき: 시모츠키)

12월 : 師走(しわす: 시와스)

가족호칭 일본어

자기 가족

호칭

남의 가족

家族(かぞく)

가족

ご家族

親(おや)・両親(りょうしん)

부모

父(ちち)

아버지

お父さん(おとうさん)

母(はは)

어머니

お母さん(おかあさん)

兄(あに)

형,오빠

お兄さん(おにいさん)

姉(あね)

누나,언니

お姉さん(おねえさん)

弟(おとうと)

남동생

弟さん(おとうとさん)

妹(いもうと)

여동생

妹さん(いもうとさん)

主人(しゅじん)・夫(おっと)

남편

ご主人(ごしゅじん)

内(かない)・妻(つま)

아내

奥さん(おくさん)

息子(むすこ)

아들

息子さん(むすこさん)

娘(むすめ)

娘さん(むすめさん)

子供(こども)

자녀

お子さん(おこさん)

孫(まご)

손자

お孫さん(おまごさん)

姪(めい)

여조카

めいごさん

甥(おい)

남조카

おいごさん

いとこ

사촌

 

 

例 . 가족을 물어볼 때와 대답할 때..

きょうだい なんにん 

Q. 兄弟は何人すか。형제는 몇명입니까?

わたし さんにん     あに ひとり いもうと   わたし

A.私は三人兄弟です。兄が一人、妹が一人、私です。

저는 삼형제입니다. 형이 한명 여동생이 한명..저입니다.

 

 

※상대방의 가족을 물어볼 때,나이가 어리더라도... ~さん을 꼭 붙이세요...

예를 들어 상대방의 아들이 있는지를 물어볼때..
저희들도 아드님 이라고 말을 하듯 ~さん를 붙여 息子さん(むすこさん)이라고 합니다.
표를 보시고 공부해 주세요...

 

가족호칭 일본어

일본어에서는 <남들 앞에서의 자기 가족을 말할때><다른 가족을 부를 때>의 호칭이 다릅니다.

특히, 상대방의 가족에 대해서는,자기보다 어린 사람이라도
息子さん,子供さん처럼 ~さん을 붙여서 말하는 것이 예의입니다.

 

[출처] 가족 호칭|작성자 규민ㅋ

+ Recent posts